중국 치사율 95% '감염병', 주한미군이 반입한 '그것'과 같은균?
치사율이 최대 95%에 달한다고 알려진 '탄저병'. 피부로 감염되면 피부가 썩고, 폐로 감염되면 폐렴을 유발하는 무서운 균이예요.
심각한 치사율 탓에 탄저균은 2차 세계대전 당시 각국의 생화학무기로 쓰였어요.
일부는 생화학무기의 잔재로 인해 감염병이 재유행하는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는데, 전문가들은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해요.
탄저균은 인간보다 먼저 지구에 살아온 '토착균'이기 때문이라고 해요.
'우한 폐렴'이라고 불리던 코로나19와 비슷하게, 폐렴을 유발하는 무서운 감염병이예요.
탄저균, 생화학무기 잔재?
"원래 땅에 있던 토착균"
지난달 허베이성 청더, 산둥성 등 지역에서 탄저병 환자가 발생했어요.
한 달 동안 약 10여 명이 탄저병에 걸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가족이 함께 감염돼 치료를 받고 있던 한 14세 소년은 사망했어요.
중국은 소년이 탄저병에 걸려 숨진 것으로 결론을 내렸으며, 탄저병과 관련된 주민 모두 소 사육과 도축, 판매 업무와 관련된 것으로 조사됐어요.
지난 6월에도 원수이현에서 탄저병 환자가 나왔다고 하요.
매년 중국에서는 약 300~500건의 탄저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고 해요.
국내에서도 탄저병을 1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는데, 다행히 국내서는 70년대 이후 환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고 해요.
가장 최근에 발생한 것은 2000년 경남 창녕군에서 소고기 섭취 후 탄저병에 걸린 것인데, 당시 죽은 소고기를 불법 도축해 먹은 73명 중 6명이 탄저병 증세를 보였으며, 1명이 사망했어요.
지난 2015년 미군 오산 공군기지에 주한미군이 연구용 탄저균을 반입해 논란이 된 바 있지만, 이로 인한 감염자는 발생하지 않았어요.
탄저병이 사실상 '종식'된 한국과 달리, 중국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부 전문가들은 과거 2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했던 생화학무기의 후유증이라고 주장했어요.
홍콩과학기술대 저널에 실린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2차 세계대전에서 탄저균을 전투기에 실어 도시 전역에 살포하는 생화학무기로 사용했으며, 이때 중국에 퍼진 탄저균이 아직까지 남아서 탄저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어요.
그러나 이와 반대되는 전문가 의견이 더 많은데요.
탄저균은 중국뿐 아니라 세계 곳곳, 심지어 우리나라의 땅속에도 존재하는 세균이예요.
세계대전과 최근 발병은 시간적 거리감이 있으며 탄저균은 아포(spore)라는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어 강한 생존력을 지녔기 때문에 토양 속에서 오랜 기간 살아왔던 것이라고 해요.
탄저균은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닌 원래 땅에 사는 균으로, 전 세계에 소량씩 퍼져 있는 토양 세균이라며 생화학무기로 인한 결과는 아니라고 생각된다는 의견도 있어요.
병들어 죽은 가축, 절대 끓여서도 먹지 말아야
다행히 탄저균은 바이러스가 아닌 '세균'으로, 치료법이 없는 것은 아닌데요.
만약 국내에 남아 있던 탄저균에 감염되더라도
- 시프로플록사신
- 독시사이클린
- 페니실린 등
항생제를 투약 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다고 해요.
탄저병은 피부·폐·위장관 세 곳을 통해 발병하는데, 피부에 생긴 탄저병은 폐나 위장관에 생긴 탄저병보다 치료가 잘 되고, 치사율도 낮아요.
어느 곳에 생겼든 증상이 나타났다면 최대한 빨리 발견해 치료를 시작해야 패혈증이나 쇼크로 사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고해요.
국내 어딘가의 땅속에도 탄저균이 있다면, 소고기 등 섭취를 주의해야 하는 걸까? 그럴 필요는 없다고 해요.
우리가 먹는 소고기는 대부분 도축장에서 검사를 받은 후 유통되기 때문이예요.
과거 국내 탄저병 사례는 대부분 병든 소를 불법 도축해 먹었다가 발생한 것이라고 해요.
아포 상태의 탄저균은 끓이거나, 소독하거나, 자외선을 쬐도 죽지 않기때문에 병들어 죽은 소가 탄저균에 감염됐다면 끓여 먹어도 안전하지 않으므로 절대 먹어선 안 된다고 수입고기도 철저한 수의방역과 검역을 거치기 때문에 국내로 들어올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어요.
식물에 생기는 식물탄저병
식물에 생기는 '식물탄저병'을 사람과 동물에게 발병하는 탄저병과 혼동하는 사람이 많아요.
이들은 불에 탄 듯이 타들어 가는 증상을 보여 '탄저병'이라는 같은 이름이 붙었지만, 식물탄저병은 식물병원성 진균에 의해 감염된 식물병으로, 사람이나 동물에 발생하는 세균성 탄저병과는 달라요.
#중국새로운바이러스 #중국탄저병 #중국탄저균
#탄저균중국 #중국코로나탄저병 #식물탄저병 #주한미군 #중국감염병
참조 : 헬스조선
'생각해봐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 10명 중 7명 '위드 코로나' 전환 찬성, 시기는 11월말 적당 (0) | 2021.09.05 |
---|---|
(확정)수도권 4단계 4주 더..모임 최대 6명, 비수도권 8명까지/추석연휴 백신2차접종자만 인센티브 (0) | 2021.09.03 |
다음주 6인모임, 추석 8인까지 모임 허용? 위드 코로나로 단계적 전환 (0) | 2021.09.02 |
2022년 부터 아동수당, 8세까지 지급 확대 0~1세 영아수당 30만원 (0) | 2021.08.31 |
올해 독감접종 사전예약제 도입, 코로나 백신과 겹쳐서 (0) | 2021.08.31 |